토리맘의 한글라이즈 프로젝트 logo 토리맘의 한글라이즈 프로젝트

스프링 부트 공식 레퍼런스를 한글로 번역한 문서입니다.

전체 목차는 여기에 있습니다.

목차


12.3. Embedded Web Servers

스프링 부트 웹 애플리케이션엔 임베디드 웹 서버가 포함돼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다 보면 임베디드 서버를 변경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임베디드 서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등, 다양한 질문들이 들어온다. 이번 섹션에선 이런 질문들에 답해보겠다.

12.3.1. Use Another Web Server

스프링 부트 스타터 중에는 디폴트 임베디드 컨테이너가 포함돼 있는 스타터가 많이 있다:

다른 HTTP 서버로 전환한다면 디폴트 의존성을 필요한 의존성으로 바꿔줘야 한다.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별도 HTTP 서버 전용 스타터를 사용하면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은 메이븐을 이용해 스프링 MVC에서 톰캣을 제외하고 Jetty를 추가하는 예시다:

<properties>
    <servlet-api.version>3.1.0</servlet-api.version>
</propert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exclusions>
        <!-- Exclude the Tomcat dependency -->
        <exclusio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omcat</artifactId>
        </exclusion>
    </exclusions>
</dependency>
<!-- Use Jetty instead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jetty</artifactId>
</dependency>

Tomcat 9, Undertow 2와는 달리 Jetty 9.4에선 서블릿 4.0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서블릿 API 버전을 재정의했다. 서블릿 4.0을 지원하는 Jetty 10을 사용하고 싶을때는 servlet-api.version 프로퍼티가 아닌 jetty.version 프로퍼티를 재정의해라.

다음은 그래들을 이용해 필요한 의존성과 module replacement를 설정하는 예시다. 여기선 스프링 웹플럭스에 들어있는 Reactor Netty 대신 Undertow를 사용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undertow"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flux"
    modules {
        module("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reactor-netty") {
            replacedBy("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undertow", "Use Undertow instead of Reactor Netty")
        }
    }
}

WebClient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spring-boot-starter-reactor-netty가 필요하므로, 다른 HTTP 서버를 추가하더라도 Netty 의존성을 유지해야 할 수도 있다.

12.3.2. Disabling the Web Server

클래스패스에 웹 서버를 시작할 때 필요한 클래스가 들어 있으면 스프링 부트는 자동으로 웹 서버를 시작한다. 이 동작을 비활성화하려면 아래 예시처럼 application.propertiesWebApplicationType을 설정해라:

properties yaml
spring.main.web-application-type=none
spring:
  main:
    web-application-type: "none"

12.3.3. Change the HTTP Port

독립 실행형 애플리케이션에선 메인 HTTP 포트는 디폴트로 8080을 사용하지만 server.port로 변경할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나 시스템 프로퍼티 등으로). Environment 값은 완화한 규칙으로 바인딩하는 덕분에 SERVER_PORT를 사용해도 된다 (OS 환경 변수 등에).

HTTP 엔드포인트는 완전히 꺼버리고 WebApplicationContext만 생성하려면 server.port=-1을 사용해라 (테스트에 유용할 거다).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 부트 기능’ 섹션에 있는 “임베디드 서블릿 컨테이너 커스텀하기“나 ServerProperties 소스 코드를 참고해라.

12.3.4. Use a Random Unassigned HTTP Port

놀고 있는 포트를 스캔하려면 (OS 네이티브를 사용해서 충돌 방지) server.port=0을 사용해라.

12.3.5. Discover the HTTP Port at Runtime

서버를 실행한 포트는 로그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WebServerApplicationContext에서 WebServer에 접근해도 확인할 수 있다. 컨테이너를 가져와서 초기화를 마쳤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ApplicationListener<WebServerInitializedEvent> 타입 @Bean을 추가해서, 이벤트를 게시했을 때 이벤트에서 컨테이너를 꺼내오는 거다.

@SpringBootTest(webEnvironment=WebEnvironment.RANDOM_PORT)를 사용하는 테스트에선 아래 예제처럼 @LocalServerPort 어노테이션을 통해 필드에 실제 포트를 주입할 수도 있다:

@SpringBootTest(webEnvironment = WebEnvironment.RANDOM_PORT)
public class MyWebIntegrationTests {

    @LocalServerPort
    int port;

    // ...

}

@LocalServerPort@Value("${local.server.port}")를 선언하고 있는 메타 어노테이션이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포트를 주입하려고 하면 안 된다. 방금 보았듯이 이 값은 컨테이너가 초기화된 다음에만 설정된다. 애플리케이션 코드 콜백은 테스트와는 다르게 더 일찍 처리된다 (값이 실제로 세팅되기 전에).

12.3.6. Enable HTTP Response Compression

HTTP 응답 압축은 Jetty, Tomcat, Undertow에서 지원한다. 다음과 같이 application.properties로 활성화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server.compression.enabled=true
server:
  compression:
    enabled: true

기본적으로 응답을 압축할 수 있으려면 최소한 2048바이트는 돼야 한다. 이 동작은 server.compression.min-response-size 프로퍼티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컨텐츠 타입일 때만 응답을 압축한다:

이 동작은 server.compression.mime-types 프로퍼티로 설정할 수 있다.

12.3.7. Configure SSL

SSL 설정은 server.ssl.* 프로퍼티를 통해 선언할 수 있다. 보통은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에 선언한다. 다음은 application.properties에 SSL 프로퍼티를 설정하는 예시다:

properties yaml
server.port=8443
server.ssl.key-store=classpath:keystore.jks
server.ssl.key-store-password=secret
server.ssl.key-password=another-secret
server:
  port: 8443
  ssl:
    key-store: "classpath:keystore.jks"
    key-store-password: "secret"
    key-password: "another-secret"

지원하는 전체 프로퍼티가 궁금하다면 Ssl을 참고해라.

위같은 설정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더 이상 8080 포트의 일반 HTTP 커넥터를 지원하지 않는다. 스프링 부트에선 application.properties를 통해 HTTP 커넥터와 HTTPS 커넥터를 둘 다 설정하는 건 불가능하다. 둘 다 사용하고 싶다면 둘 중 하나는 코드로 직접 설정해야 한다. 둘 중에서는 HTTP 커넥터가 코드로 설정하기가 좀 더 쉽기 때문에 application.properties로는 HTTPS를 설정하는 걸 추천한다.

12.3.8. Configure HTTP/2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선 설정 프로퍼티 server.http2.enabled를 사용하면 HTTP/2 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다. h2(TLS를 통한 HTTP/2)와 h2c(TCP를 통한 HTTP/2)를 둘 다 지원한다. h2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SSL도 활성화해야 한다. SSL을 활성화하지 않았을 땐 h2c를 사용하게 된다. h2 프로토콜은 모든 JDK 8 릴리즈에서 기본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h2를 지원하는 세부적인 것들은 선택한 웹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HTTP/2 with Tomcat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톰캣 9.0.x를 사용한다. 톰캣 9.0.x는 h2c를 기본으로 지원하며, JDK 9 이상을 사용할 때는 h2도 기본으로 지원한다. 아니면 호스트 운영 체제에 libtcnative 라이브러리와 그 의존성들이 설치돼어 있을 땐, JDK 8에서도 h2를 사용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 디렉토리를 JVM 라이브러리 경로로 사용할 수 없다면 따로 설정해줘야 한다. -Djava.library.path=/usr/local/opt/tomcat-native/lib같은 JVM 인자를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톰캣 문서에 나와있다.

HTTP/2와 SSL을 활성화해서 톰캣 9.0.x을 기동시키는데 네이티브 지원이 없는 JDK 8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 로그가 찍힌다:

ERROR 8787 --- [           main] o.a.coyote.http11.Http11NioProtocol      : The upgrade handler [org.apache.coyote.http2.Http2Protocol] for [h2] only supports upgrade via ALPN but has been configured for the ["https-jsse-nio-8443"] connector that does not support ALPN.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에러가 보이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 HTTP/1.1 SSL을 사용할 수 있다.

HTTP/2 with Jetty

Jetty에서 HTTP/2를 지원하려면 별도로 org.eclipse.jetty.http2:http2-server 의존성이 필요하다. h2c를 사용할 때는 다른 의존성은 없어도 된다. h2를 사용한다면 배포하는 방식에 따라 아래 의존성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HTTP/2 with Reactor Netty

spring-boot-webflux-starter는 기본 서버로 Reactor Netty를 사용하고 있다. Reactor Netty에선 다른 의존성이 없이도 JDK 8+를 이용해 h2c를 지원한다. JDK 9 이상에선 JDK 지원을 이용해 h2를 지원한다.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로도 h2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JDK 8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런타임 성능도 최적화할 수 있다. 대신에 애플리케이션에 별도 의존성은 넣어줘야 한다.

스프링 부트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티이브 라이브러리가 들어 있는 io.netty:netty-tcnative-boringssl-static “uber jar”의 버전을 관리해준다. classifier를 사용하면 필요한 의존성만 선택해서 가져올 수 있다 (Netty 공식 문서 참고).

HTTP/2 with Undertow

Undertow 1.4.0+부터는 JDK8을 사용하면 별도 의존성 없이도 h2h2c를 지원한다.

12.3.9. Configure the Web Server

일반적으로 웹 서버를 커스텀할 땐 먼저, 지원하는 키들 중에 필요한 게 있는지 찾아보고, application.properties(또는 application.yml이나 environment 등. 외부 프로퍼티에 사용할 수 있는 빌트인 옵션 찾기 참고)에 설정을 추가하는 게 좋다. 웹 서버를 설정할 땐 server.* 네임스페이스가 매우 유용하며, server.tomcat.*, server.jetty.* 등과 같은 서버 전용 기능을 위한 별도 네임스페이스도 지원한다. 공통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에 나와있는 목록을 참고해라.

앞에서 이미 압축, SSL, HTTP/2같이 매우 흔한 유스 케이스들을 다뤘다. 하지만 현재 직면한 요구사항에 맞는 설정 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제는 WebServerFactoryCustomizer를 살펴봐야 한다.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해 컴포넌트로 선언하면 사용 중인 서버 팩토리에 접근할 수 있다. 단, 서버 팩토리는 사용 중인 서버(Tomcat, Jetty, Reactor Netty, Undertow)와 웹 스택(Servlet 또는 Reactive)에 맞는 클래스를 지정해야 한다.

아래 있는 예시는 spring-boot-starter-web(서블릿 스택)을 사용하는 톰캣 서버를 커스텀하는 예시다:

@Component
public class MyTomcatWebServerCustomizer implements WebServerFactoryCustomizer<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

    @Override
    public void customize(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factory) {
        // customize the factory here
    }

}

스프링 부트는 서버를 자동 설정할 때도 역시 내부적으로 자동 설정 인프라를 이용한다. 자동 설정된 WebServerFactoryCustomizer 빈의 order는 0이고, 따로 order를 명시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정의한 다른 customizer보다 먼저 처리된다.

customizer를 사용해서 WebServerFactory에 접근했다면, 이 팩토리를 통해 커넥터, 서버 리소스나 서버 자체 설정 같이 서버에 특화된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는 전부 서버 전용 API를 사용한다.

스프링 부트는 전용 웹 서버 팩토리들도 제공하고 있다:

Server Servlet stack Reactive stack
Tomcat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TomcatReactiveWebServerFactory
Jetty JettyServletWebServerFactory JettyReactiveWebServerFactory
Undertow UndertowServletWebServerFactory UndertowReactiveWebServerFactory
Reactor N/A NettyReactiveWebServerFactory

이걸로도 안 된다면 최후의 수단으로 자체 WebServerFactory 빈을 선언할 수도 있다. 빈을 직접 선언하면 스프링 부트에서 제공하는 빈은 재정의된다. 이때는 자동 설정된 customizer들까지 커스텀 팩토리에 적용되므로, 이 옵션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된다.

12.3.10. Add a Servlet, Filter, or Listener to an Application

서블릿 스택 애플리케이션에선, 즉 spring-boot-starter-web을 사용할 때는, 두 가지 방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Servlet, Filter, ServletContextListener와 서블릿 API가 지원하는 다른 리스너들을 추가할 수 있다:

Add a Servlet, Filter, or Listener by Using a Spring Bean

스프링 빈을 이용해 Servlet이나, Filter, 서블릿 *Listener를 추가하려면 반드시 @Bean 정의를 제공해야 한다. 설정이나 의존성을 주입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할 거다. 하지만 이런 빈들은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중 매우 초기에 컨테이너에 넣어지기 때문에, 다른 빈들까지 너무 많이 미리 초기화되버리는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런 빈에선 DataSource나 JPA 설정에 의존하는 건 좋은 생각이 아니다.) 이 문제는 빈 초기화를 처음 사용하는 시점으로 미루면 해결할 수 있다.

FilterServlet의 경우, FilterRegistrationBean이나 ServletRegistrationBean을 사용하면 url 매핑이나 init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도 있다. 기존 컴포넌트 대신 사용할 수도 있고 추가로 함께 사용해도 된다.

FilterRegistrationBeandispatcherType을 지정하지 않으면 REQUEST를 사용한다. 이는 서블릿 사양의 디폴트 디스패처 타입에 맞게 맞춘 거다.

서블릿 필터 빈들도 다른 스프링 빈과 똑같이 순서를 정의할 수 있다. “서블릿, 필터, 리스너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기” 섹션을 꼭 확인해봐라.

Disable Registration of a Servlet or Filter

앞에서 설명했듯이 Servlet, Filter 빈들은 전부 서블릿 컨테이너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등록하고 싶지 않은 Filter, Servlet 빈이 있다면 다음 예시처럼 registration bean을 생성하고 비활성화로 마킹해라: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MyFilterConfiguration {

    @Bean
    public FilterRegistrationBean<MyFilter> registration(MyFilter 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MyFilter> registration = new FilterRegistrationBean<>(filter);
        registration.setEnabled(false);
        return registration;
    }

}

Add Servlets, Filters, and Listeners by Using Classpath Scanning

@Configuration 클래스에 @Servlet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달아 등록하고 싶은 컴포넌트가 있는 패키지를 명시하면 @WebServlet, @WebFilter, @WebListener 어노테이션 클래스를 임베디드 서블릿 컨테이너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ServletComponentScan은 기본적으로 이 어노테이션을 선언한 클래스의 패키지에서 스캔을 시작한다.

12.3.11. Configure Access Logging

Tomcat, Undertow, Jetty에선 각자의 네임스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설정은 커스텀 패턴을 사용해서 Tomcat의 액세스 로그를 기록한다.

properties yaml
server.tomcat.basedir=my-tomcat
server.tomcat.accesslog.enabled=true
server.tomcat.accesslog.pattern=%t %a %r %s (%D ms)
server:
  tomcat:
    basedir: "my-tomcat"
    accesslog:
      enabled: true
      pattern: "%t %a %r %s (%D ms)"

기본적으로 로그는 톰켓 베이스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logs 디렉토리에 기록한다. 이 logs 디렉토리는 기본적으로 임시 디렉토리기 때문에, 톰캣의 베이스 디렉토리를 수정하거나 절대 경로로 바꿔주는 게 좋다. 위 예시에선 애플리케이션의 작업 디렉토리의 상대 경로인 my-tomcat/logs에 로그를 기록한다.

Undertow의 액세스 로그는 다음 예제와 비슷하게 설정하면 된다:

properties yaml
server.undertow.accesslog.enabled=true
server.undertow.accesslog.pattern=%t %a %r %s (%D ms)
server:
  undertow:
    accesslog:
      enabled: true
      pattern: "%t %a %r %s (%D ms)"

로그는 애플리케이션의 작업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logs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server.undertow.accesslog.dir 프로퍼티를 설정하면 이 위치를 커스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Jetty의 액세스 로그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server.jetty.accesslog.enabled=true
server.jetty.accesslog.filename=/var/log/jetty-access.log
server:
  jetty:
    accesslog:
      enabled: true
      filename: "/var/log/jetty-access.log"

기본적으로 로그는 System.err로 리다이렉트된다. 자세한 내용은 Jetty 문서를 참고해라.

12.3.12. Running Behind a Front-end Proxy Server

애플리케이션 앞에 프록시나 로드 밸런서를 두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한다면, 중간에 요청 정보(호스트, 포트, 스킴 등)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10.10.10.10:8080에서 실행하더라도, HTTP 클라이언트에선 example.org로만 접근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RFC7239 “Forwarded Headers”에선 Forwarded HTTP 헤더를 정의하고 있다. 프록시에선 이 헤더를 통해 기존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링크를 만들어 HTTP 302 응답이나, JSON 도큐먼트, HTML 페이지로 클라이언트한테 전송할 땐, 이 헤더들을 읽어 자동으로 헤더 정보를 이용하게끔 설정할 수 있다. 물론 X-Forwarded-Host, X-Forwarded-Port, X-Forwarded-Proto, X-Forwarded-Ssl, X-Forwarded-Prefix같은 비표준 헤더도 존재한다.

프록시가 흔히 쓰는 X-Forwarded-For, X-Forwarded-Proto 헤더를 추가해준다면 server.forward-headers-strategyNATIVE로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웹 서버 자체에서 네이티브로 이 기능을 지원해줄 거다. 정확한 동작이 궁금하다면 웹 서버 문서를 검색해봐라.

그 외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ForwardedHeader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server.forward-headers-strategyFRAMEWORK로 설정해주면 이 필터를 애플리케이션의 서블릿 필터로 등록할 수 있다.

톰캣을 사용할 때 프록시에서 SSL이 종료되는 경우 server.tomcat.redirect-context-rootfalse로 설정해야 한다. 그래야만 리다이렉션을 수행하기 전에 X-Forwarded-Proto 헤더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Cloud Foundry나 Heroku에서 실행한다면 server.forward-headers-strategy 프로퍼티는 기본적으로 NATIVE로 설정된다. 그외 다른 경우는 모두 NONE이 디폴트다.

Customize Tomcat’s Proxy Configuration

톰캣을 사용한다면 다음 예제와 같이 “forwarded”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헤더들의 이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server.tomcat.remoteip.remote-ip-header=x-your-remote-ip-header
server.tomcat.remoteip.protocol-header=x-your-protocol-header
server:
  tomcat:
    remoteip:
      remote-ip-header: "x-your-remote-ip-header"
      protocol-header: "x-your-protocol-header"

톰캣은 신뢰할 수 있는 내부 프록시를 매칭시키는 디폴트 정규식도 함께 설정된다. 기본적으로 IP 주소 10/8, 192.168/16, 169.254/16, 127/8을 신뢰한다. 이 밸브 설정은 아래와 같이 application.properties를 통해 커스텀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server.tomcat.remoteip.internal-proxies=192\\.168\\.\\d{1,3}\\.\\d{1,3}
server:
  tomcat:
    remoteip:
      internal-proxies: "192\\.168\\.\\d{1,3}\\.\\d{1,3}"

internal-proxys를 공백으로 설정하면 모든 프록시를 신뢰할 수 있다 (단, 프로덕션에선 이렇게 설정하면 안 된다).

자동 설정을 끄고 (server.forward-headers-strategy=NONE) WebServerFactoryCustomizer 빈으로 새 밸브 인스턴스를 추가하면 톰캣의 RemoteIpValve 설정을 전부 제어할 수 있다.

12.3.13. Enable Multiple Connectors with Tomcat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는 HTTP, HTTPS 커넥터를 포함해서 커넥터를 여러 개 허용할 수 있다. 이 팩토리에는 다음과 같이 org.apache.catalina.connector.Connector를 추가할 수 있다: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MyTomcatConfiguration {

    @Bean
    public WebServerFactoryCustomizer<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sslConnectorCustomizer() {
        return (tomcat) -> tomcat.addAdditionalTomcatConnectors(createSslConnector());
    }

    private Connector createSslConnector() {
        Connector connector = new Connector("org.apache.coyote.http11.Http11NioProtocol");
        Http11NioProtocol protocol = (Http11NioProtocol) connector.getProtocolHandler();
        try {
            URL keystore = ResourceUtils.getURL("keystore");
            URL truststore = ResourceUtils.getURL("truststore");
            connector.setScheme("https");
            connector.setSecure(true);
            connector.setPort(8443);
            protocol.setSSLEnabled(true);
            protocol.setKeystoreFile(keystore.toString());
            protocol.setKeystorePass("changeit");
            protocol.setTruststoreFile(truststore.toString());
            protocol.setTruststorePass("changeit");
            protocol.setKeyAlias("apitester");
            return connector;
        }
        catch (IOException 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Fail to create ssl connector", ex);
        }
    }

}

12.3.14. Use Tomcat’s LegacyCookieProcessor

스프링 부트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톰캣은 쿠키 포맷 “Version 0”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에러를 보게될 수도 있다: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An invalid character [32] was present in the Cookie value

가능하면 최신 쿠키 사양과 호환되는 값들만 저장하도록 코드를 수정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하지만 쿠키를 작성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없을 때는 대신에 톰캣에서 LegacyCookieProcessor를 사용하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LegacyCookieProcessor로 전환하려면 다음 예제와 같이 WebServerFactoryCustomizer빈을 사용해 TomcatContextCustomizer를 추가해라: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MyLegacyCookieProcessorConfiguration {

    @Bean
    public WebServerFactoryCustomizer<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cookieProcessorCustomizer() {
        return (factory) -> factory
                .addContextCustomizers((context) -> context.setCookieProcessor(new LegacyCookieProcessor()));
    }

}

12.3.15. Enable Tomcat’s MBean Registry

임베디드 톰캣의 MBean 레지스트리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돼 있다. 덕분에 톰캣의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톰캣의 MBean을 사용해서 Micrometer 등을 통해 메트릭을 노출하고 싶다면 다음 예제와 같이 server.tomcat.mbeanregistry.enabled 프로퍼티를 사용해야 한다:

properties yaml
server.tomcat.mbeanregistry.enabled=true
server:
  tomcat:
    mbeanregistry:
      enabled: true

12.3.16. Enable Multiple Listeners with Undertow

다음 예제와 같이 UndertowBuilderCustomizerUndertowServletWebServerFactory에 추가하고 Builder에 리스너를 추가해라: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MyUndertowConfiguration {

    @Bean
    public WebServerFactoryCustomizer<UndertowServletWebServerFactory> undertowListenerCustomizer() {
        return (factory) -> factory.addBuilderCustomizers(this::addHttpListener);
    }

    private Builder addHttpListener(Builder builder) {
        return builder.addHttpListener(8080, "0.0.0.0");
    }

}

12.3.17. Create WebSocket Endpoints Using @ServerEndpoint

임베디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서 @ServerEndpoint를 이용하려면 다음 예제와 같이 반드시 ServerEndpointExporter @Bean을 하나 선언해야 한다: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MyWebSocketConfiguration {

    @Bean
    public ServerEndpointExporter serverEndpointExporter() {
        return new ServerEndpointExporter();
    }

}

위 예제에 있는 빈은 WebSocket 컨테이너에 @ServerEndpoint 어노테이션을 선언한 빈들을 등록한다. 독립 실행형 서블릿 컨테이너에 배포할 때는 서블릿 컨테이너 이니셜라이저가 이 역할은 담당하며, 이때는 ServerEndpointExporter 빈이 필요하지 않다.


Next :
Spring MVC
스프링 MVC와 관련된 how to 가이드 (json, xml로 렌더링하기, ObjectMapper 커스텀하기, MultiPart 업로드하기, viewResolver 커스텀하기 등)

전체 목차는 여기에 있습니다.

<<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