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맘의 한글라이즈 프로젝트 logo 토리맘의 한글라이즈 프로젝트

스프링 부트 공식 레퍼런스를 한글로 번역한 문서입니다.

전체 목차는 여기에 있습니다.

목차


7.2. Externalized Configuration

스프링 부트에선 설정을 외부로 뺄 수 있어서,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서로 다른 환경으로 작업할 수 있다. 외부 설정은 자바 Properties 파일, YAML 파일, 환경 변수, 커맨드라인 인자 등 다양한 소스를 활용할 수 있다.

프로퍼티 값은 @Value 어노테이션을 통해 빈에 직접 주입하거나, 스프링의 Environment 인터페이스로 접근해도 되고, @ConfigurationProperties를 통해 객체 구조에 바인딩할 수도 있다.

스프링 부트는 PropertySource를 적용하는 순서를 정확하게 설계해놨기 때문에, 사리에 맞게 값을 재정의할 수 있다. 프로퍼티를 적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밑에 있는 값이 위에 있는 값을 재정의한다):

  1. 디폴트 프로퍼티 (SpringApplication.setDefaultProperties 설정으로 지정).
  2. @Configuration 클래스 위에 있는 @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 이 프로퍼티 소스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리프레시하기 전까지는 Environment에 추가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자. 리프레시를 시작하기 전에 읽어가는 logging.*, spring.main.*같은 프로퍼티를 설정하기엔 적합하지 않다.
  3. 컨피그 데이터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등)
  4. random.* 프로퍼티만 가지고 있는 RandomValuePropertySource.
  5. OS 환경 변수.
  6. 자바 시스템 프로퍼티 (System.getProperties()).
  7. java:comp/env의 JNDI 속성.
  8. ServletContext init 파라미터.
  9. ServletConfig init 파라미터.
  10. SPRING_APPLICATION_JSON에 있는 프로퍼티 (환경 변수나 시스템 프로퍼티에 내장된 인라인 JSON).
  11. 커맨드라인 인자.
  12. 테스트에 있는 properties 속성. @SpringBootTest애플리케이션 일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test 어노테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13. 테스트에 있는 @Test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
  14. devtools를 활성화한 경우 $HOME/.config/spring-boot 디렉토리에 있는 Devtools 글로벌 설정 프로퍼티.

컨피그 데이터 파일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적용한다:

  1. jar에 패키징한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YAML로 작성한 파일).
  2. jar에 패키징한 프로파일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application-{profile}.properties 또는 YAML로 작성한 파일).
  3. 패키징한 jar 밖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YAML로 작성한 파일).
  4. 패키징한 jar 밖에 있는 프로파일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application-{profile}.properties 또는 YAML로 작성한 파일).

파일 형식은 전체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로 통일하는 게 좋다. 같은 위치에 .properties.yml 설정 파일이 둘 다 있다면 .properties를 우선시한다.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다음과 같이 name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Component를 개발한다고 해보자:

@Component
public class MyBean {

    @Value("${name}")
    private String name;

    // ...

}

애플리케이션 클래스패스(ex. jar 내부)에 적당한 name 프로퍼티의 디폴트 값을 제공하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환경에서 실행할 때는 name을 재정의하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jar 외부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일회성 테스트라면 커맨드라인 스위치로 프로퍼티를 특정해서 (ex. java -jar app.jar --name="Spring") 기동할 수도 있다.

env, configprops 엔드포인트는 어떤 프로퍼티에 그 값이 왜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할 때 유용하다. 이 두 엔드포인트를 통해 기대와 다른 프로퍼티 값을 진단해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Production ready features“를 참고해라.

7.2.1. Accessing Command Line Properties

SpringApplication은 기본적으로 모든 커맨드라인 옵션 인자(즉, --server.port=9000같이 --로 시작하는 인자)를 property로 변환해서 스프링 Environment에 추가한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커맨드라인 프로퍼티는 항상 파일 기반 프로퍼티 소스보다 우선한다.

커맨드라인 프로퍼티가 Environment에 추가되는게 싫다면 SpringApplication.setAddCommandLineProperties(false)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7.2.2. JSON Application Properties

종종 Environment 변수와 시스템 프로퍼티에는 일부 프로퍼티명은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따르곤 한다. 스프링 부트에선 이럴 때를 대비해 프로퍼티 블록을 단일 JSON 구조로 인코딩할 수 있게 해준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게 되면 spring.application.json이나 SPRING_APPLICATION_JSON 프로퍼티를 파싱해서 Environment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UN*X 쉘의 커맨드라인에서 환경 변수로 SPRING_APPLICATION_JSON 프로퍼티를 제공할 수 있다:

$ SPRING_APPLICATION_JSON='{"my":{"name":"test"}}' java -jar myapp.jar

앞의 예시에선 스프링 Environmentmy.name=test라는 프로퍼티를 가지게 된다.

동일한 JSON을 시스템 프로퍼티로도 제공할 수 있다:

$ java -Dspring.application.json='{"my":{"name":"test"}}' -jar myapp.jar

또는 JSON을 커맨드라인 인자로 제공해도 된다:

$ java -jar myapp.jar --spring.application.json='{"my":{"name":"test"}}'

전형적인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배포한다면 java:comp/env/spring.application.json이라는 JNDI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JSON에 있는 null 값은 프로퍼티 소스에 추가는 되지만, PropertySourcesPropertyResolvernull 프로퍼티를 누락 값missing values으로 처리한다. 다시 말해 JSON의 null 값으론 우선 순위가 더 낮은 프로퍼티 소스의 프로퍼티를 재정의할 수 없다.

7.2.3. External Application Properties

스프링 부트는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면서 다음 위치에서 자동으로 application.propertiesapplication.yaml 파일을 찾아 로드한다:

  1. 클래스패스에서
    a. 클래스패스 루트
    b. 클래스패스 /config 패키지
  2. 현재 디렉토리에서
    a. 현재 디렉토리
    b. 현재 디렉토리 밑에 있는 /config 디렉토리
    c. 하위 /config 디렉토리 바로 밑에 있는 디렉토리들

이 항목들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된다 (밑에 있는 항목이 밑에 위에 있는 항목을 재정의한다). 로드한 파일에 있는 도큐먼트들은 스프링 EnvironmentPropertySources로 추가된다.

설정 파일명으로 application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environment 프로퍼티 spring.config.name을 지정해서 다른 파일명으로 전환하면 된다. 예를 들어 myproject.propertiesmyproject.yaml 파일을 찾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된다:

$ java -jar myproject.jar --spring.config.name=myproject

environment 프로퍼티 spring.config.location을 사용해 참조할 위치를 명시할 수도 있다. 이 프로퍼티는 확인할 위치를 하나 이상, 쉼표로 구분해서 받는다.

다음은 두 개의 다른 파일을 지정하는 예시다:

$ java -jar myproject.jar --spring.config.location=\
    optional:classpath:/default.properties,\
    optional:classpath:/override.properties

location이 없을 수도 있어서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도 상관없다면 optional:을 프리픽스로 사용해라.

spring.config.name, spring.config.location,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은 로드할 파일을 결정하기 때문에 읽어가는 시점이 훨씬 빠르다. 따라서 이 값들은 environment 프로퍼티(보통 OS 환경 변수나, 시스템 프로퍼티, 커맨드라인 인자)로 정의해야 한다.

spring.config.location에 디렉토리(파일이 아닌)를 지정한다면 /로 끝나야 한다. 디렉토리엔 런타임에 로드하기 전 spring.config.name으로 생성한 이름이 덧붙여진다. spring.config.location에 지정한 파일들은 그대로 임포트한다.

location 값으로 사용한 디렉토리와 파일은 모두 프로파일 전용 파일도 함께 확인하기 위해 치환expand된다. 예를 들어 classpath:myconfig.propertiesspring.config.location으로 있는 경우 적절한 classpath:myconfig-<profile>.properties 파일도 로드되는 걸 알 수 있다.

대부분은 단일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참조하는 spring.config.location 항목을 추가한다. location은 정의된 순서대로 처리되며, 나중에 정의한 location이 앞에 나온 location을 재정의할 수 있다.

location 설정이 복잡한데 프로파일별 설정 파일까지 사용한다면, 스프링 부트가 이 파일들을 그룹화활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힌트를 더 제공해야 할 수도 있다. location 그룹은 모두 동일한 레벨로 간주하는 location의 모음이다. 예를 들어 모든 클래스패스 location을 그룹으로 묶고, 모든 외부 location은 또 다른 그룹으로 묶고 싶을 수 있다. 하나의 location 그룹 내에 있는 항목은 ;로 구분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파일 전용 파일” 섹션에 있는 예제를 참고해라.

spring.config.location을 사용해 설정한 location은 디폴트 location을 대체한다. 예를 들어 spring.config.locationoptional:classpath:/custom-config/,optional:file:./custom-config/로 설정했다면 고려하는 전체 location 셋은 다음과 같다:

  1. optional:classpath:custom-config/
  2. optional:file:./custom-config/

location을 대체하기 보단 별도 location을 더 추가하고 싶은 거라면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을 사용하면 된다. 추가된 location에서 로드한 프로퍼티는 디폴트 location에 있는 프로퍼티를 재정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optional:classpath:/custom-config/,optional:file:./custom-config/로 설정했다면 고려하는 전체 location 셋은 다음과 같다:

  1. optional:classpath:/;optional:classpath:/config/
  2. optional:file:./;optional:file:./config/;optional:file:./config/*/
  3. optional:classpath:custom-config/
  4. optional:file:./custom-config/

이 검색 순서를 잘 활용하면 설정 파일 하나에 기본값을 지정하고, 다른 설정 파일에선 필요에 따라 이 값을 재정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기본값은 디폴트 location 중 하나에 있는 application.properties(또는 spring.config.name으로 지정한 다른 베이스 이름)에 제공하면 된다. 이 기본값들은 런타임에 커스텀 location 중 하나에 있는 다른 파일로 재정의될 수 있다.

시스템 프로퍼티가 아닌 환경 변수를 사용할 때는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 키 이름을 마침표로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그대신 밑줄을 사용할 수 있다 (ex. spring.config.name 대신 SPRING_CONFIG_NAME). 자세한 내용은 환경 변수로 바인딩하기를 참고해라.

애플리케이션을 서블릿 컨테이너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실행한다면 JNDI 프로퍼티(java:comp/env)나 서블릿 컨텍스트 init 파라미터를 환경 변수나 시스템 프로퍼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 Locations

설정 데이터 위치로 지정한 location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트는 ConfigDataLocationNotFoundException을 던지며, 애플리케이션은 기동되지 않는다.

location을 지정하고는 싶지만 항상 존재하지 않아도 되는 위치라면 optional: 프리픽스를 사용하면 된다. 이 프리픽스는 spring.config.location, 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 프로퍼티 뿐 아니라 spring.config.import 선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ring.config.importoptional:file:./myconfig.properties를 사용하면 myconfig.properties 파일이 없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

ConfigDataLocationNotFoundExceptions를 전부 무시하고 무조건 애플리케이션 기동을 이어가려면 spring.config.on-not-found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된다. SpringApplication.setDefaultProperties(…)나 시스템/환경 변수를 사용해 값을 ignore로 설정해라.

Wildcard Locations

설정 파일 location에서 마지막 path 세그먼트에 * 문자가 포함돼 있으면 와일드카드 location으로 간주한다. 와일드카드는 설정을 로드할 때 확장 적용되서expand, 바로 밑에 있는 디렉토리도 함께 확인한다. 와일드카드 location은 설정 프로퍼티 소스가 여러 개 있을 때 쿠버네티스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몇 가지 Redis 설정과, MySQL 설정이 둘 다 있다면, 이 두 설정 모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있어야 하면서도 별도로 유지하고 싶을 수가 있다. 따라서 /config/redis/application.properties/config/mysql/application.properties 같이 다른 location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별도로 두 번 마운트하게 된다. 이런 상황이라면 와일드카드 location config/*/가 두 파일을 모두 처리해줄 거다.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트는 디폴트 검색 위치에 config/*/도 포함시킨다. 즉, jar 밖에 있는 /config 디렉토리의 모든 하위 디렉토리를 검색하게 된다.

spring.config.locationspring.config.additional-location 프로퍼티에 직접 와일드카드 location을 사용해도 된다.

와일드카드 location은 *은 하나만 포함하고, 디렉토리인 경우 */로, 파일인 경우 */<filename>으로 끝나야 한다. 와일드카드를 가진 location은 절대 경로를 포함한 파일 이름을 기준으로 알파벳순으로 정렬된다.

와일드카드 location은 외부 디렉토리에서만 작동한다. classpath: location에선 와일드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Profile Specific Files

스프링 부트는 application 프로퍼티 파일뿐 아니라, application-{profile}을 네이밍 컨벤션으로 사용하는 프로파일 전용 파일도 로드해본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prod라는 프로파일을 활성화하고 YAML 파일을 사용한다면, application.ymlapplication-prod.yml을 둘 다 찾는다.

프로파일 전용 프로퍼티는 표준 application.properties와 동일한 위치에서 로드하며, 프로파일 전용 파일은 항상 프로파일을 특정하지 않은 파일보다 우선시된다. 프로파일을 여러 개 지정했을 때는 마지막 프로파일이 이기는 전략last-wins strategy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spring.profiles.active 프로퍼티에 prod,live 프로파일을 지정하면 application-prod.properties에 있는 값은 application-live.properties에 있는 값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 프로파일이 이긴다는 이 전략last-wins strategylocation 그룹 레벨에 적용된다. spring.config.locationclasspath:/cfg/,classpath:/ext/classpath:/cfg/;classpath:/ext/와는 재정의 규칙이 다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prod,live 예시를 계속 이어가자면, 다음과 같은 파일이 있을 수 있다:

/cfg
application-live.properties
/ext
application-live.properties
application-prod.properties

spring.config.locationclasspath:/cfg/,classpath:/ext/를 사용하면, /ext의 파일보다 먼저 /cfg의 파일들을 전부 처리한다.

  1. /cfg/application-live.properties
  2. /ext/application-prod.properties
  3. /ext/application-live.properties

이 값 대신 classpath:/cfg/;classpath:/ext/를 사용하면 (;를 구분자로 사용), /cfg/ext를 동일한 레벨로 처리한다.

  1. /ext/application-prod.properties
  2. /cfg/application-live.properties
  3. /ext/application-live.properties

Environment는 활성 프로파일을 설정하지 않았을 때 사용하는 디폴트 프로파일 셋을 가지고 있다 (기본값은 [default]). 즉, 명시적으로 활성화한 프로파일이 없으면 application-default에서 프로퍼티를 조회한다.

프로퍼티 파일들은 무조건 한 번만 로드한다. 이미 프로파일 전용 프로퍼티 파일을 직접 임포트했다면, 다시 임포트하지 않는다.

Importing Additional Data

더 나아가 spring.config.import 프로퍼티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에 다른 위치에 있는 설정 데이터를 임포트할 수 있다. 임포트는 발견하는 대로 처리하며, 임포트를 선언한 도큐먼트 바로 아래에 도큐먼트를 추가한 것처럼 다룬다.

예를 들어 클래스패스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다음과 같은 설정이 있을 수 있다:

properties yaml
spring.application.name=myapp
spring.config.import=optional:file:./dev.properties
spring:
  application:
    name: "myapp"
  config:
    import: "optional:file:./dev.properties"

이 설정은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dev.properties 파일을 임포트하게 만든다 (해당 파일이 있으면). 임포트한 dev.properties에 있는 값은 임포트를 트리거한 파일보다 우선시된다. 위 예제에선 dev.propertiesspring.application.name을 다른 값으로 재정의할 수 있다.

임포트는 몇 번을 선언하더라도 딱 한 번만 가져온다. properties/yaml에 있는 하나의 도큐먼트 안에서는 임포트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아래 두 예시는 같은 결과를 낳는다:

properties yaml
spring.config.import=my.properties
my.property=value
spring:
  config:
    import: my.properties
my:
  property: value
properties yaml
my.property=value
spring.config.import=my.properties
my:
  property: value
spring:
  config:
    import: my.properties

두 예시 모두 my.properties 파일에 있는 값이 임포트를 트리거한 파일보다 우선 순위가 높다.

spring.config.import 키 하나에 location을 여러 개 지정해도 된다. location은 정의한 순서대로 처리되며, 뒤에 있는 import가 우선 순위가 높다.

필요 시엔 프로파일 전용 프로퍼티 파일도 임포트 대상에 올린다. 위 예시는 my.propertiesmy-<profile>.properties를 함께 임포트한다.

스프링 부트는 다양한 location을 지원하기 위한 플러그형 API를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자바 Properties, YAML, “설정 트리“를 임포트할 수 있다.

써드 파티 jar에선 다른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파일이 로컬에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설정 데이터가 Consul이나 Apache ZooKeeper, Netflix Archaius같은 외부 저장소에 있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자체 location을 지원하려면 org.springframework.boot.context.config 패키지에 있는 ConfigDataLocationResolverConfigDataLoader 클래스를 확인해봐라.

Importing Extensionless Files

일부 클라우드 플랫폼에선 볼륨으로 마운트한 파일에는 파일 확장자를 추가할 수 없다. 이렇게 확장자가 없는 파일을 임포트하기 위해선, 스프링 부트가 이 파일을 어떻게 로드해야 할지 알 수 있도록 힌트를 줘야 한다. 대괄호 안에 확장자 힌트를 넣으면 된다.

예를 들어 /etc/config/myconfig란 파일을 yaml로 임포트하려 한다고 해보자. application.properties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이 파일을 임포트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spring.config.import=file:/etc/config/myconfig[.yaml]
spring:
  config:
    import: "file:/etc/config/myconfig[.yaml]"

Using Configuration Trees

클라우드 플랫폼(ex.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는 한 번씩 플랫폼이 제공하는 설정 값을 읽어야 할 때가 있다. 환경 변수를 이런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 드물진 않지만, 특히 값을 외부에 노출하면 안 되는 경우엔 사용하기 어렵다.

이제는 많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환경 변수의 대안으로 마운트한 데이터 볼륨에 설정을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버네티스는 ConfigMapSecret을 볼륨에 마운트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공통 볼륨 마운트 패턴은 두 가지가 있다:

  1. 전체 프로퍼티 셋을 가지고 있는 단일 파일 (보통은 YAML로 작성).
  2. 디렉토리 트리에 파일을 여러 개 작성하고, 파일 이름을 ‘키’로, 내용을 ‘값’으로 활용한다.

첫 번째 패턴에선 앞에서 설명한대로 spring.config.import를 사용해 YAML이나 Properties 파일을 직접 임포트하면 된다. 두 번째 패턴에선 스프링 부트가 모든 파일을 프로퍼티로 노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configtree: 프리픽스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쿠버네티스가 다음과 같은 볼륨을 마운트했다고 상상해보자:

etc/
  config/
    myapp/
      username
      password

username 파일의 내용은 설정 값이고, password의 내용은 시크릿이다.

이 프로퍼티들을 임포트하려면 application.propertiesapplication.yaml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properties yaml
spring.config.import=optional:configtree:/etc/config/
spring:
  config:
    import: "optional:configtree:/etc/config/"

이렇게 하고나면 평소대로 Environment에서 myapp.username, myapp.password 프로퍼티에 접근하고 주입할 수 있다.

설정 트리 값은 예상되는 내용에 따라 문자열 String 타입으로도, byte[] 타입으로도 바인딩될 수 있다.

같은 상위 폴더 안에 임포트할 설정 트리가 여러 개 있을 땐 와일드카드를 활용하면 한 번에 임포트할 수 있다. /*/로 끝나는 configtree: location은 바로 아래에 있는 항목들을 모두 설정 트리로 가져온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볼륨이 있을 땐:

etc/
  config/
    dbconfig/
      db/
        username
        password
    mqconfig/
      mq/
        username
        password

configtree:/etc/config/*/를 임포트 location으로 사용하면 된다:

properties yaml
spring.config.import=optional:configtree:/etc/config/*/
spring:
  config:
    import: "optional:configtree:/etc/config/*/"

이렇게 하면 db.username, db.password, mq.username, mq.password 프로퍼티가 추가될 거다.

와일드카드를 통해 로드한 디렉토리들은 알파벳순으로 정렬된다. 순서를 변경하고 싶다면 각 location을 별도의 import로 나눠 선언해야 한다.

설정 트리는 도커 시크릿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커 스웜 서비스에 시크릿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면 이 시크릿은 컨테이너에 마운트된다. 예를 들어 db.password라는 이름을 가진 시크릿이 /run/secrets/ 위치에 마운트된 경우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db.password를 스프링 environment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properties yaml
spring.config.import=optional:configtree:/run/secrets/
spring:
  config:
    import: "optional:configtree:/run/secrets/"

Property Placeholders

application.propertiesapplication.yml에 있는 값들을 사용할 땐 기존 Environment를 통해 필터링되기 때문에, 먼저 정의해둔 값(ex. 시스템 프로퍼티로)을 재참조할 수 있다. 즉, 값 어디에나 표준 프로퍼티 플레이스홀더 구문 ${name}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파일은 app.description을 “MyApp is a Spring Boot application”으로 설정하고 있다:

properties yaml
app.name=MyApp
app.description=${app.name} is a Spring Boot application
app:
  name: "MyApp"
  description: "${app.name} is a Spring Boot application"

이 테크닉을 통해 기존 스프링 부트 프로퍼티를 좀 더 “짧은” 프로퍼티로 다시 만들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how-to 가이드 ‘짧은’ 커맨드라인 인자 사용하기를 참고해라.

Working with Multi-Document Files

스프링 부트에선 물리적인 파일 하나를 각각 독립적으로 추가되는 여러 개의 논리적 도큐먼트로 분할할 수 있다. 도큐먼트는 위에서 아래 순으로 처리된다. 뒤에 있는 문서는 앞에 있는 문서에서 정의한 프로퍼티를 재정의할 수 있다.

application.yml 파일에선 표준 YAML multi-document 구문을 사용한다. 연속된 세 개의 하이픈이 한 도큐먼트 끝과 다음 도큐먼트의 시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 파일은 두 개의 논리적인 도큐먼트를 가지고 있다:

spring.application.name: MyApp
---
spring.config.activate.on-cloud-platform: kubernetes
spring.application.name: MyCloudApp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선 특별한 주석 #---으로 도큐먼트 분할을 마킹한다:

spring.application.name=MyApp
#---
spring.config.activate.on-cloud-platform=kubernetes
spring.application.name=MyCloudApp

프로퍼티 파일 구분 기호 앞에는 공백이 없어야 하며, 하이픈 문자가 정확히 세 개 있어야 한다. 구분 기호 바로 앞, 뒷 줄은 주석이면 안 된다.

multi-document 프로퍼티 파일은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같은 활성화 프로퍼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섹션을 참고해라.

multi-document 프로퍼티 파일은 @PropertySource@Test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으로 로드할 수 없다.

Activation Properties

일부 프로퍼티는 특정 조건이 충족할 때만 활성화하는 게 유용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파일을 활성화했을 때만 의미 있는 프로퍼티가 있을 수 있다.

spring.config.activate.*를 사용하면 프로퍼티 도큐먼트를 조건부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활성화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다:

Property Note
on-profile 일치해야만 도큐먼트를 활성화하는 프로파일 표현식.
on-cloud-platform 감지해야만 도큐먼트를 활성화하는 CloudPlatform.

예를 들어 아래 예시에선 쿠버네티스에서 실행하고, “prod”나 “staging” 프로파일을 활성화했을 때만 두 번째 도큐먼트가 활성화된다:

properties yaml
myprop=always-set
#---
spring.config.activate.on-cloud-platform=kubernetes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prod | staging
myotherprop=sometimes-set
myprop:
  always-set
---
spring:
  config:
    activate:
      on-cloud-platform: "kubernetes"
      on-profile: "prod | staging"
myotherprop: sometimes-set

7.2.4. Encrypting Properties

스프링 부트는 프로퍼티 값 암호화를 내장 지원하고 있진 않지만, 스프링 Environment에 들어간 값을 수정하는 데 필요한 훅 포인트를 제공한다. EnvironmentPostProcessor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기동 전에 Environment를 조작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기 전에 Environment 또는 ApplicationContext 커스텀하기를 참고해라.

credential과 패스워드를 안전하게 저장할 방법을 찾고 있다면, Spring Cloud Vault 프로젝트에서 HashiCorp Vault에 외부 설정을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7.2.5. Working with YAML

YAML은 JSON의 상위 집합이기에,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는 설정 데이터를 지정할 때 편하다. SpringApplication 클래스는 클래스패스에 SnakeYAML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properties 대안으로 YAML을 자동 지원한다.

“스타터”를 사용한다면 spring-boot-starter에 의해 자동으로 SnakeYAML이 제공될 거다.

Mapping YAML to Properties

YAML 도큐먼트의 계층구조는 스프링 Environment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랫flat 구조로 변환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아래 YAML 도큐먼트를 생각해보자:

environments:
  dev:
    url: https://dev.example.com
    name: Developer Setup
  prod:
    url: https://another.example.com
    name: My Cool App

이 프로퍼티들은 Environment에서 액세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펼쳐진다flattened:

environments.dev.url=https://dev.example.com
environments.dev.name=Developer Setup
environments.prod.url=https://another.example.com
environments.prod.name=My Cool App

마찬가지로 YAML 리스트도 펼쳐야 한다. YAML 리스트는 [index] 역참조자dereferencers를 가진 프로퍼티 키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아래 YAML을 생각해보자:

my:
 servers:
 - dev.example.com
 - another.example.com

위 예시는 아래 프로퍼티들로 변환된다:

my.servers[0]=dev.example.com
my.servers[1]=another.example.com

[index] 표기법을 사용하는 프로퍼티는 스프링 부트의 Binder 클래스를 통해 자바 ListSet 객체에 바인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있는 “Type-safe 설정 프로퍼티” 섹션을 참고해라.

YAML 파일은 @PropertySource@TestPropertySource 어노테이션으로 로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방식으로 값을 로드해야 할 땐 properties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Directly Loading YAML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YAML 도큐먼트를 로드할 수 있는 두 가지 간편 클래스를 제공한다. YamlPropertiesFactoryBean은 YAML을 Properties로, YamlMapFactoryBean은 YAML을 Map으로 로드한다.

YAML을 스프링 PropertySource로 로드하고 싶으면 YamlPropertySourceLoader 클래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7.2.6. Configuring Random Values

RandomValuePropertySource는 랜덤 값을 주입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시크릿이나 테스트 케이스에). 다음 예제에서 보이는 것처럼 integer, long, uuid, string을 생성할 수 있다:

properties yaml
my.secret=${random.value}
my.number=${random.int}
my.bignumber=${random.long}
my.uuid=${random.uuid}
my.number-less-than-ten=${random.int(10)}
my.number-in-range=${random.int[1024,65536]}
my:
  secret: "${random.value}"
  number: "${random.int}"
  bignumber: "${random.long}"
  uuid: "${random.uuid}"
  number-less-than-ten: "${random.int(10)}"
  number-in-range: "${random.int[1024,65536]}"

random.int*에서 사용하는 구문은 OPEN value (,max) CLOSE다. 여기서 OPEN,CLOSE는 임의의 문자를 나타내며, value,max는 정수다. max를 제공하면 value가 최소값, max가 최대값이 된다 (max 미만 까지).

7.2.7. Configuring System Environment Properties

스프링 부트에선 environment 프로퍼티에 프리픽스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요구 사항이 다른 여러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 환경을 공유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시스템 환경 프로퍼티의 프리픽스는 SpringApplication에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픽스를 input으로 설정하면 remote.timeout과 같은 프로퍼티도 시스템 환경의 input.remote.timeout으로 리졸브된다.

7.2.8. Type-safe Configuration Properties

설정 프로퍼티를 일일이 @Value("${proper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주입하기가 번거로울 수도 있는데, 작업 중인 프로퍼티가 많거나 데이터 자체 계층구조가 복잡하면 더욱 그렇다. 스프링 부트는 프로퍼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한 가지 더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선 빈 타입을 확실하게 정해둬서 애플리케이션 설정의 유효성을 미리 검사할 수 있다.

@Value와 type-safe 설정 프로퍼티의 차이점도 함께 보면 좋다.

JavaBean properties binding

다음 예제처럼 표준 JavaBean 프로퍼티를 선언하고 있는 빈에는 프로퍼티 값을 바인딩할 수 있다:

@ConfigurationProperties("my.service")
public class MyProperties {

    private boolean enabled;

    private InetAddress remoteAddress;

    private final Security security = new Security();

    // getters / setters...

    public static class Security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List<String> roles = new ArrayList<>(Collections.singleton("USER"));

        // getters / setters...

    }

}

위 POJO로 정의하는 프로퍼티는 다음과 같다:

스프링 부트에서 @ConfigurationProperties 클래스에 매핑하는 프로퍼티는 (properties 파일, YAML 파일, 환경 변수 등을 통해 구성하는 프로퍼티) public API긴 하지만, 클래스 자체에 있는 접근자(getters/setters)는 직접 사용하는 용도가 아니다.

스프링 MVC에서와 동일하게 표준 자바 빈 property descriptor를 통해 바인딩하기 때문에, 이런 구조에선 비어있는 디폴트 생성자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는 getter와 setter가 필수다. 다음과 같은 경우엔 setter를 생략할 수 있다:

  • Map은 초기화만 해줬다면 getter만 있으면 되고 setter는 없어도 된다. 바인더를 통해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컬렉션과 배열은 인덱스(보통 YAML에서)나 쉼표로 구분하는 단일 값(properties)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후자에선 setter가 필수다. 이런 타입에선 항상 setter를 추가하는 게 좋다. 컬렉션을 직접 초기화한다면 불변 객체immutable는 아닌지 반드시 확인해봐야 한다 (앞의 예제에서처럼 변경 가능해야 한다).
  • 중첩된 POJO 프로퍼티를 직접 초기화한다면 (위 예제의 Security 필드같이) setter가 필요하지 않다. 런타임에 바인더를 이용해 기본 생성자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싶다면 setter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롬복을 사용해 자동으로 getter와 setter를 추가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타입에선 롬복이 생성자를 만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롬복이 어떤 생성자를 만들게 되면, 컨테이너가 객체 인스턴스를 만들 때 그 생성자를 자동으로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프로퍼티를 바인딩할 땐 표준 자바 빈 프로퍼티만 고려하며, 스태틱 프로퍼티 바인딩은 지원하지 않는다.

Constructor binding

앞 섹션에서 보여줬던 예제는 아래와 같이 변경이 불가능한immutable 객체로 다시 작성할 수 있다:

@ConstructorBinding
@ConfigurationProperties("my.service")
public class MyProperties {

    // fields...

    public MyProperties(boolean enabled, InetAddress remoteAddress, Security security) {
        this.enabled = enabled;
        this.remoteAddress = remoteAddress;
        this.security = security;
    }

    // getters...

    public static class Security {

        // fields...

        public Security(String username, String password, @DefaultValue("USER") List<String> roles) {
            this.username = username;
            this.password = password;
            this.roles = roles;
        }

        // getters...

    }

}

이 설정에선 @ConstructorBind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생성자 바인딩을 사용하겠다는 것을 알린다. 즉, 바인더는 바인딩할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 생성자를 찾아볼 거다.

@ConstructorBinding 클래스 안에 중첩돼 있는 멤버(ex. 위 예제의 Security)도 생성자를 통해 바인딩된다.

기본값은 @DefaultValue로 지정할 수 있으며, 프로퍼티 값이 없을 때는 여기 지정한 String 값에 같은 변환 서비스를 적용해 타겟 타입으로 강제 변환시킨다. 기본적으로는 Security에 바인딩된 프로퍼티가 없으면 MyProperties 인스턴스는 securitynull로 가질 거다. Security에 바인딩된 프로퍼티가 없더라도 null이 아닌 인스턴스를 반환하려면 비어 있는 @DefaultValu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된다:

public MyProperties(boolean enabled, InetAddress remoteAddress, @DefaultValue Security security) {
    this.enabled = enabled;
    this.remoteAddress = remoteAddress;
    this.security = security;
}

생성자 바인딩을 사용하려면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나 설정 프로퍼티 스캔을 사용해 해당 클래스를 활성화해야 한다. 일반적인 스프링 메커니즘으로 생성하는 빈(ex. @Component 빈, @Bean 메소드로 생성하는 빈, @Import로 로드하는 빈)에는 생성자 바인딩을 사용할 수 없다.

클래스에 생성자가 둘 이상이라면 @ConstructorBinding을 바인딩할 생성자에 직접 사용해도 된다.

@ConfigurationProperties의 주요 용도는 프로퍼티를 지정한 타입으로 리턴하는 거다. java.util.Optional은 설정 프로퍼티 주입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Optional 프로퍼티를 선언하더라도, 다른 타입을 사용하는 프로퍼티와의 일관성을 위해, 값이 없으면 비어 있는 Optional이 아니라 null을 바인딩한다.

Enabling @ConfigurationProperties-annotated types

스프링 부트를 활용하면 @ConfigurationProperties 타입을 바인딩해서 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설정 프로퍼티는 클래스별로 하나하나 활성화해도 되고, 컴포넌트 스캔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설정 프로퍼티 스캔을 활성화해도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을 달아준 클래스가 스캔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체 자동 설정을 개발 중이거나 조건에 따라 활성화하려는 경우가 그렇다. 이럴 땐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처리할 타입들을 지정해라. 다음 예제처럼 @Configuration 클래스에 선언해주면 된다: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SomeProperties.class)
public class MyConfiguration {

}

설정 프로퍼티 스캔을 사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에 @ConfigurationPropertiesScan 어노테이션을 추가해라. 보통은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을 선언한 메인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에 추가하지만 다른 @Configuration 클래스에 추가해도 상관없다. 기본적으로는 이 어노테이션을 선언한 클래스의 패키지에서 스캔을 진행한다. 스캔할 패키지를 직접 정의하려면 다음 예제처럼 하면 된다:

@SpringBootApplication
@ConfigurationPropertiesScan({ "com.example.app", "com.example.another" })
public class MyApplication {

}

@ConfigurationProperties 빈이 설정 프로퍼티 스캔이나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를 통해 등록될 땐, 빈 이름은 컨벤션에 따라 <prefix>-<fqn>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prefix>@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에 지정한 environment 키 프리픽스이고, <fqn>은 빈의 풀 네임fully qualified name이다. 어노테이션에 프리픽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빈의 풀 네임만 사용한다.

위 예제에 있는 빈 이름은 com.example.app-com.example.app.SomeProperties다.

@ConfigurationProperties로는 environment만 다루는게 좋고, 특히 컨텍스트에 있는 다른 빈은 주입하지 않는 게 좋다. 별다른 방법이 없다면 setter 주입을 사용하거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Aware 인터페이스들(ex. Environment에 접근해야 할 땐 EnvironmentAware)을 활용하면 된다. 그래도 생성자를 통해 다른 빈을 주입하고 싶다면, 설정 프로퍼티 빈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달고 JavaBean 기반 프로퍼티 바인딩을 사용해야 한다.

Using @ConfigurationProperties-annotated types

이런 방식의 설정은 아래와 같은 SpringApplication 외부 YAML 설정과 특히 잘 어울린다:

my:
    service:
        remote-address: 192.168.1.1
        security:
            username: admin
            roles:
              - USER
              - ADMIN

@ConfigurationProperties 빈을 사용할 때는 다른 빈을 주입할 때처럼 똑같이 주입해주면 된다:

@Service
public class MyService {

    private final SomeProperties properties;

    public MyService(SomeProperties properties) {
        this.properties = properties;
    }

    public void openConnection() {
        Server server = new Server(this.properties.getRemoteAddress());
        server.start();
        // ...
    }

    // ...

}

@ConfigurationProperties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에 정의한 키를 IDE에서 자동 완성으로 입력할 수 있게 도와주는 메타데이터 파일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을 참고해라.

Third-party Configuration

@ConfigurationProperties는 클래스에 추가할 수도 있지만, public @Bean 메소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직접 제어할 수 없는 써드 파티 컴포넌트에 프로퍼티를 바인딩할 때 특히 유용하다.

Environment 프로퍼티로 빈을 구성하려면 다음 예제처럼 @ConfigurationProperties를 해당 빈 정의에 추가해라: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public class ThirdPartyConfiguration {

    @Bean
    @ConfigurationProperties(prefix = "another")
    public AnotherComponent anotherComponent() {
        return new AnotherComponent();
    }

}

another 프로픽스로 정의한 JavaBean 프로퍼티는 모두 이전 SomeProperties 예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AnotherComponent 빈에 매핑된다.

Relaxed Binding

스프링 부트는 Environment 프로퍼티를 @ConfigurationProperties 빈에 바인딩할 땐 몇 가지 규칙을 완화해서 적용하기 때문에, Environment 프로퍼티명과 빈 프로퍼티명이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잘 활용하면 좋을만한 대표적인 예시를 들면, environment 프로퍼티를 대쉬로 구분하거나 (ex. context-pathcontextPath에 바인딩), 대문자로 표기할 때다 (ex. PORTport에 바인딩).

예를 들어 아래 @ConfigurationProperties 클래스를 살펴보자:

@ConfigurationProperties(prefix = "my.main-project.person")
public class MyPersonProperties {

    private String firstName;

    public String getFirstName() {
        return this.firstName;
    }

    public void setFirstName(String firstName) {
        this.firstName = firstName;
    }

}

위 코드에선 다음과 같은 프로퍼티명을 적용할 수 있다:

Property Note
my.main-project.person.first-name 케밥 케이스. .properties, .yml 파일에서 권장.
my.main-project.person.firstName 표준 카멜 케이스 구문.
my.main-project.person.first_name 언더스코어 표기법. .properties, .yml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
MY_MAINPROJECT_PERSON_FIRSTNAME 대문자 형식. 시스템 환경 변수에서 권장.

이 어노테이션에 있는 prefix 값은 반드시 케밥케이스를 사용해야 한다 (my.main-project.person같이 소문자를 사용하고 -로 구분).

Property Source Simple List
Properties 파일 카멜 케이스, 케밥 케이스, 언더스코어 표기법 [ ]를 사용하는 표준 리스트 구문 또는 값을 콤마로 구분
YAML 파일 카멜 케이스, 케밥 케이스, 언더스코어 표기법 표준 YAML 리스트 구문 또는 값을 콤마로 구분
환경 변수 대문자 형식이면서 언더스코어를 구분자로 사용 환경 변수 바인딩하기 참고). 숫자를 언더스코어로 감싸서 표현 (환경 변수 바인딩하기 참고)
시스템 프로퍼티 카멜 케이스, 케밥 케이스, 언더스코어 표기법 [ ]를 사용하는 표준 리스트 구문 또는 값을 콤마로 구분

프로퍼티는 가능하면 my.person.first-name=Rod와 같이 소문자 케밥 형식으로 저장하길 권장한다.

Binding Maps

Map 프로퍼티에 값을 바인딩할 땐 기존 key 값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키를 []로 감싸지 않으면 알파벳과 숫자, -, . 문자를 제외한 다른 문자는 모두 제거된다.

예를 들어서 아래 프로퍼티를 Map<String,String>에 바인딩한다고 생각해보자:

properties yaml
my.map.[/key1]=value1
my.map.[/key2]=value2
my.map./key3=value3
my:
  map:
    "[/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

YAML 파일에선 키에 있는 대괄호는 따옴표로 감싸야 제대로 파싱된다.

위에 있는 프로퍼티는 Map에 바인딩될 때 /key1, /key2, key3를 맵의 키로 사용한다. key3에 있는 슬래시는에서 대괄호로 감싸지 않았기 때문에 제거된다.

간혹 key.가 포함돼 있는 값을 스칼라가 아닌 값에 바인딩한다면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b=cMap<String, Object>에 바인딩하면 {"a"={"b"="c"}}를 엔트리로 가진 맵을 반환하는 반면, [a.b]=c{"a.b"="c"}를 엔트리로 가진 맵을 반환한다.

Binding from Environment Variables

대부분의 운영 체제는 환경 변수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에 엄격한 규칙을 둔다. 예를 들어 리눅스 쉘 변수에는 문자(a~z 또는 A~Z), 숫자(0 ~9), 언더스코어(_) 만 사용할 수 있다. 유닉스 쉘 변수도 컨벤션에 따라 대문자 이름만 사용한다.

스프링 부트는 가능한 한 이런 네이밍 제약과 호환될 수 있도록 완화한 바인딩 규칙을 설계했다.

표준 형식canonical-form을 따르는 프로퍼티명은 다음 규칙에 따라 환경 변수 이름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퍼티 spring.main.log-startup-infoSPRING_MAIN_LOGSTARTUPINFO라는 환경 변수로 만들 수 있다.

환경 변수는 객체 리스트에도 바인딩할 수 있다. List에 바인딩하려면 변수 이름 안에서 요소 번호를 언더스코어로 감싸야 한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퍼티 my.service[0].otherMY_SERVICE_0_OTHER라는 환경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Merging Complex Types

리스트 설정이 두 곳 이상에 있을 땐 전체 리스트를 대체하는 식으로 재정의된다.

예를 들어 name, description 속성을 가진 MyPojo 객체를 생각해보자. 이 속성들의 디폴트 값은 null이다. 다음 예제는 MyPropertiesMyPojo 객체 리스트를 노출한다:

@ConfigurationProperties("my")
public class MyProperties {

    private final List<MyPojo> list = new ArrayList<>();

    public List<MyPojo> getList() {
        return this.list;
    }

}

이제 아래 설정을 살펴보자:

properties yaml
my.list[0].name=my name
my.list[0].description=my description
#---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dev
my.list[0].name=my another name
my:
  list:
  - name: "my name"
    description: "my description"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my:
  list:
  - name: "my another name"

dev 프로파일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MyProperties.list는 위에서 정의한 MyPojo를 딱 하나 가진다. 하지만 dev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더라도 list여전히 하나의 항목만 가진다 (name은 my another name이고 description은 null). 이 설정은 두 번째 MyPojo 인스턴스를 리스트에 추가해주지 않으며, 아이템을 병합해주지도 않는다.

여러 프로파일에서 List를 지정하더라도,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리스트를 사용한다 (이 리스트만 사용한다). 다음 예제를 생각해보자:

properties yaml
my.list[0].name=my name
my.list[0].description=my description
my.list[1].name=another name
my.list[1].description=another description
#---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dev
my.list[0].name=my another name
my:
  list:
  - name: "my name"
    description: "my description"
  - name: "another name"
    description: "another description"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my:
  list:
  - name: "my another name"

위 예제에서 dev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면 MyProperties.list딱 하나의 MyPojo 엔트리를 갖게된다 (name은 my another name, description은 null). YAML에선 쉼표로 구분하는 리스트와 YAML 리스트 둘 다 리스트의 내용을 완전히 재정의할 수 있다.

Map 프로퍼티는 여러 소스에서 가져온 프로퍼티 값을 통해 바인딩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프로퍼티가 여러 소스에 있다면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퍼티를 사용한다. 다음 예제는 MyPropertiesMap<String, MyPojo>를 노출한다:

@ConfigurationProperties("my")
public class MyProperties {

    private final Map<String, MyPojo> map = new LinkedHashMap<>();

    public Map<String, MyPojo> getMap() {
        return this.map;
    }

}

이제 아래 설정을 살펴보자:

properties yaml
my.map.key1.name=my name 1
my.map.key1.description=my description 1
#---
spring.config.activate.on-profile=dev
my.map.key1.name=dev name 1
my.map.key2.name=dev name 2
my.map.key2.description=dev description 2
my:
  map:
    key1:
      name: "my name 1"
      description: "my description 1"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my:
  map:
    key1:
      name: "dev name 1"
    key2:
      name: "dev name 2"
      description: "dev description 2"

dev 프로파일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MyProperties.mapkey1를 키로 가진 엔트리를 하나만 가진다(name은 my name 1, description은 my description 1). 하지만 dev 프로파일을 활성화하면 map에는 key1 키와(name은 dev name 1, description은 my description 1)와 key2 키(name은 dev name 2, description은 dev description 2) 두 가지 엔트리가 추가된다.

이 병합 규칙은 파일말고도 다른 프로퍼티 소스에도 모두 적용된다.

Properties Conversion

스프링 부트에서 @ConfigurationProperties 빈에 값을 바인딩할 땐 외부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타입을 정의된 타입으로 강제 전환한다. 타입 변환 로직을 커스텀하고 싶다면 ConversionService 빈(빈 이름을 conversionService로)이나, 커스텀 프로퍼티 에디터(CustomEditorConfigurer 빈을 통해), 또는 커스텀 Converters(빈 정의에 @ConfigurationPropertiesBinding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서)를 제공하면 된다.

애플리케이션 라이프 사이클에서 ConversionService 빈을 요청하는 시점은 매우 빠르기 때문에, ConversionService가 사용하는 의존성에는 제한을 둬야 한다. 보통 ConversionService를 생성하는 시점에는 필요한 의존성들이 완전히 초기화되지 않았을 거다. 커스텀 ConversionService를 설정 키를 강제하는 데는 사용하지 않고, @ConfigurationPropertiesBinding으로 지정한 커스텀 컨버터에만 의존한다면 커스텀 ConversionService 이름은 변경하는 게 좋을 거다.

Converting Durations

스프링 부트에는 기간을 나타내는 전용 표현 방식이 있다. 프로퍼티를 java.time.Duration으로 선언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에 다음과 같은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

@ConfigurationProperties("my")
public class MyProperties {

    @DurationUnit(ChronoUnit.SECONDS)
    private Duration sessionTimeout = Duration.ofSeconds(30);

    private Duration readTimeout = Duration.ofMillis(1000);

    // getters / setters...

}

30, PT30S, 30s 모두 동일하게 세션 타임아웃을 30초로 지정한다. read 타임아웃을 500ms으로 지정할 땐 500, PT0.5S, 500ms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위도 사용할 수 있는데, 지원하는 단위는 다음과 같다:

기본 단위는 밀리세컨드이며, 위 샘플에 보이는 것처럼 @DurationUnit을 사용하면 재정의할 수 있다.

생성자 바인딩을 선호한다면, 같은 프로퍼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해도 된다:

@ConfigurationProperties("my")
@ConstructorBinding
public class MyProperties {

    // fields...

    public MyProperties(@DurationUnit(ChronoUnit.SECONDS) @DefaultValue("30s") Duration sessionTimeout,
            @DefaultValue("1000ms") Duration readTimeout) {
        this.sessionTimeout = sessionTimeout;
        this.readTimeout = readTimeout;
    }

    // getters...

}

Long 프로퍼티를 매핑할 때는 단위가 밀리세컨드가 아니라면 단위를 정의해줘야 한다 (@DurationUnit). 단위를 지정하면 훨씬 더 풍부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매핑 결과를 예측하기도 더 쉽다.

Converting periods

스프링 부트에선 duration 외에 java.time.Period 타입도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엔 다음과 같은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심플 포맷에선 다음과 같은 단위를 지원한다:

java.time.Period 타입은 실제로는 주week 단위 숫자를 따로 저장하진 않으며, “7일”을 짧게 표현하는 것 뿐이다.

Converting Data Sizes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사이즈를 바이트 단위로 표현할 수 있는 DataSize 값 타입을 제공한다. DataSize 프로퍼티를 정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에 다음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

@ConfigurationProperties("my")
public class MyProperties {

    @DataSizeUnit(DataUnit.MEGABYTES)
    private DataSize bufferSize = DataSize.ofMegabytes(2);

    private DataSize sizeThreshold = DataSize.ofBytes(512);

    // getters/setters...

}

10, 10MB 모두 동일하게 버퍼 사이즈를 10메가바이트로 지정한다. 사이즈 임계치를 256바이트로 지정할 땐 256, 256B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위도 사용할 수 있는데, 지원하는 단위는 다음과 같다:

기본 단위는 바이트이며, 위 샘플에 보이는 것처럼 @DataSizeUnit을 사용하면 재정의할 수 있다.

생성자 바인딩을 선호한다면, 같은 프로퍼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해도 된다:

@ConfigurationProperties("my")
@ConstructorBinding
public class MyProperties {

    // fields...

    public MyProperties(@DataSizeUnit(DataUnit.MEGABYTES) @DefaultValue("2MB") DataSize bufferSize,
            @DefaultValue("512B") DataSize sizeThreshold) {
        this.bufferSize = bufferSize;
        this.sizeThreshold = sizeThreshold;
    }

    // getters...

}

Long 프로퍼티를 매핑할 때는 단위가 바이트가 아니라면 단위를 정의해줘야 한다 (@DataSizeUnit). 단위를 지정하면 훨씬 더 풍부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매핑 결과를 예측하기도 더 쉽다.

@ConfigurationProperties Validation

스프링 부트는 @ConfigurationProperties 클래스에 스프링의 @Validated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유효성을 검사한다. 설정 클래스에 JSR-303 javax.validation constraint 어노테이션을 바로 사용해도 된다. 단, 클래스패스에 그에 맞는 JSR-303 구현체가 있는지 확인해본 다음 아래 예제처럼 원하는 필드에 constraint 어노테이션을 추가해라:

@ConfigurationProperties("my.service")
@Validated
public class MyProperties {

    @NotNull
    private InetAddress remoteAddress;

    // getters/setters...

}

설정 프로퍼티를 만드는 @Bean 메소드에 @Validated 어노테이션을 선언해도 유효성 검사를 트리거한다.

프로퍼티가 없을 때조차 포함해서 무조건 중첩된 프로퍼티의 유효성 검사도 트리거하려면, 관련 필드에 @Valid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야 한다. 다음 코드는 앞에 있던 MyProperties 예제를 수정한 코드다:

@ConfigurationProperties("my.service")
@Validated
public class MyProperties {

    @NotNull
    private InetAddress remoteAddress;

    @Valid
    private final Security security = new Security();

    // getters/setters...

    public static class Security {

        @NotEmpty
        private String username;

        // getters/setters...

    }

}

configurationPropertiesValidator라는 빈을 정의해서 커스텀 스프링 Validator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Bean 메소드는 static으로 선언해야 한다. 설정 프로퍼티 validator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초기에 생성되며, @Bean 메소드를 스태틱으로 선언하면 @Configuration 클래스 인스턴스를 만들지 않고도 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하면 인스턴스를 더 빨리 만들었을 때 생기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spring-boot-actuator 모듈은 모든 @ConfigurationProperties 빈들을 노출해주는 엔드포인트를 제공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actuator/configprops에 접근하거나 JMX 엔드포인트를 이용해라. 자세한 내용은 “Production ready features” 섹션을 참고해라.

@ConfigurationProperties vs. @Value

@Value 어노테이션은 핵심 컨테이너 기능 중 하나로, type-safe 설정 프로퍼티와는 제공하는 기능이 다르다. 다음 테이블에 @ConfigurationProperties@Value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요약해 뒀다:

Feature @ConfigurationProperties @Value
바인딩 규칙 완화 Yes 제한적 (아래 노트 참고)
메타데이터 지원 Yes No
SpEL 표현식 No Yes

@Value를 사용하려면 프로퍼티명을 표준 형식canonical form(소문자만 사용한 케밥 케이스)으로 참조하는 게 좋다. 표준 형식을 사용하면 스프링 부트가 @ConfigurationProperties를 바인딩할 때 사용하는 완화된 규칙와 동일한 논리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lue("{demo.item-price}")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demo.item-pricedemo.itemPrice를, 시스템 환경에선 DEMO_ITEMPRICE를 찾는다. 하지만 @Value("{demo.itemPrice}")를 사용하면 demo.item-priceDEMO_ITEMPRICE는 고려하지 않는다.

자체 컴포넌트에 설정 키를 여러 개 정의한다면 POJO에 @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서 같이 묶어주는 게 좋다. 이렇게하면 구조화된 type-safe 객체를 빈에 주입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파일에 있는 SpEL 표현식은 파일을 파싱해 environment에 값을 집어 넣는 시점에는 처리되지 않는다. 하지만 @Value 안에서는 SpEL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퍼티 파일에 있는 프로퍼티 값이 SpEL 표현식이라면 @Value를 통해 사용하는 시점에 평가된다.


Next :
Profiles
스프링 부트의 프로파일, 프로파일 그룹 활용법

전체 목차는 여기에 있습니다.

<< >>

TOP